182. 도랑을 파라


회복이야기성경 2012-02-27 / 추천수 0 / 스크랩수 0 http://blog.chch.kr/mdhsk2545/37638.html

182. 도랑을 파라(왕하3장)





 

모압 왕 메사는 양을 치는 자라 새끼 양

십만 마리의 털과 숫양 십만 마리의 털을

이스라엘 왕에게 바치더니 아합이 죽은 후에

모압 왕이 이스라엘 왕을 배반한지라.

그 때에 여호람 왕이 사마리아에서 나가

온 이스라엘을 점고(點考)하고

또 가서 유다의 왕 여호사밧에게 사신을 보내

이르되“모압 왕이 나를 배반하였으니

당신은 나와 함께 가서 모압을 치시겠느냐?”하니

그가“내가 올라 가리이다. 나는 당신과 같고

내 백성은 당신의 백성과 같고 내 말들도 당신의

말들과 같으니이다.”하는지라(4-7절)


여호람과 여호사밧 왕은 에돔 왕과 함께

에돔 광야 길로 모압을 향하여 진군하였습니다.

그러나 길을 나선지 칠 일째에 군사와

따라가는 가축을 먹일 물이 없었습니다.


이스라엘 왕이 이르되“슬프다 여호와께서

이 세 왕을 불러 모아 모압의 손에 넘기려

하시는 도다.”하니

여호사밧이 이르되 “우리가 여호와께 물을 만한

여호와의 선지자가 여기 없느냐?”하는지라.

이스라엘 왕의 신하들 중의 한 사람이 대답하여

이르되“전에 엘리야의 손에 물을 붓던

사밧의 아들 엘리야가 여기 있나이다.”하니

여호사밧이 이르되“여호와의 말씀이 그에게 있도다.”

하는지라 이에 이스라엘 왕과 여호사밧과 에돔 왕이

그에게로 내려 가니라(10-12절)


여호람은 위기를 만나 여호와를 원망하였으나

여호사밧은 위기를 만나 선지자를 찾았습니다.

여호와께서는 엘리사에게 에돔 편에서 흘러나오는

풍성한 물을 담기 위해 도랑을 많이 파라고

명령하셨습니다. 그 결과,

다음날 아침에 물이 그 땅에 가득했습니다.

이 물은 이스라엘에게는 목마름을 해결하는

‘생수’였으나, 대적에게는 그들을 패배시키는

‘붉은 피’였습니다.


우리의 영적 노정에 있어서도 유일한 생수의

근원이신 하나님께로 나아가야 합니다(렘2:13).

이것은 생수이신 그리스도와 그분의 자녀들과

교통을 갖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생수이신 그분이 우리 안에서 막힘없이 흐르

시도록 우리의 속 부분을 파내야 한다는 것입니다.

우리 안에서 생수의 흐름을 막는 많은 죄들,

단독적임, 믿음 없음, 관념 등을 회개를 통하여

처리함으로 생수를 담을 수 있는 많은 도랑을

파내야 합니다.

우리가 생수로 충만하여 이 생수를 흘러 보낼 때

대적은 자연히 패배하게 됩니다.



181. 엘리사의 저주


회복이야기성경 2012-02-27 / 추천수 0 / 스크랩수 0 http://blog.chch.kr/mdhsk2545/37637.html

181. 엘리사의 저주(왕하2:23-25) 
 



 

 

엘리사가 거기서 벧엘로 올라가더니

그가 길에서 올라갈 때에 젊은 아이들이

성읍에서 나와 그를 조롱하여 이르되

“대머리여 올라가라 대머리여 올라가라”

하는지라. 엘리사가 뒤로 돌이켜 그들을 보고

여호와의 이름으로 저주하매 곧 수풀에서

암콤 둘이 나와서 아이들 중의 사십이 명을

찢었더라.(23-24절)


엘리사의 기적은 모두 사랑의 일이었고,

그 스승 엘리야와는 다른 바가 있었습니다.

엘리사가 한 일은 항상 도움과 치료였습니다.

단지 한 가지, 그가 젊은 아이들을 저주한 일은

좀 지나친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이렇게 한 것은 의미가 있습니다.

‘42’는 성경에서 표류와 심판의 숫자입니다.

하나님께서 사탄이 임의로 행할 수 있는 42개월을

허락하신 이유에서도 알 수 있습니다(계13:5).


벧엘은 그 당시 우상 숭배의 중심지였고

여로보암이 만든 금송아지가 바로 그곳에 있었을

뿐만 아니라, 바알의 신좌도 거기 있었습니다.

물론 그 성의 사람들도 모두 우상을 경배하는

사람들이었습니다. 아마도 그들이 그들과 원수인

엘리야의 계승자인 엘리사가 오는 소식을 듣고서

그러한 우상을 숭배하는 젊은 아이들을 보내서

엘리사를 비방하고 조롱했던 것 같습니다.


주 예수님도 원칙상 그와 같은 일을 하셨습니다.

마태복음 3장 12절은, “밀의 알곡은 곳간으로

모으실 것이지만, 쭉정이는 꺼지지 않는 불에

태우실 것”이라고 말합니다.

확실히 이 쭉정이를 태우는 것은 저주입니다.

더욱이 마태복음 12장에서 주님은

사함을 받지 못할 죄, 곧 성령을 훼방한 죄에

관하여 바리새인들에게 경고하셨습니다.

마태복음 23장에서는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에게

팔중 화를 말씀하셨습니다.

이것은 그들을 향한 주님의 저주였습니다.



다윗의 수치


2012-02-25 / 추천수 0 / 스크랩수 0 http://blog.chch.kr/mdhsk2545/37584.html
다윗의 수치
글/생명강가(2011.10.22)



“다윗이 우리야의 아내였던 여자에게서
솔로몬을 낳고”
다윗에게 큰 수치가 있었다는 것은
온 천하가 다 아는 사실입니다.

“동이 서에서 먼 것같이
우리의 죄과를 멀리 옮기시며
내가 저희 불의를 긍휼히 여기고
저희 죄를 기억하지 아니하리라”더니

하나님은 왜 주님의 족보에까지
이 사실을 기록해 두시고
오래도록 그 다윗의 수치를
기억하고 계시는 것일까요?

우리의 진정한 회개와 자백이
평화의 왕 솔로몬까지 체험하게 된다면
하나님의 용서와 다윗의 수치가
결혼한 것도 알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