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효능감(2)-성취 상황에서의 자기효능감
자기효능감
2014-08-05 , 조회 (278) , 추천 (0) , 스크랩 (0)
출처
원문

성취 상황에서의 자기효능감

자기효능감은 학교 학습과 다른 성취 활동 등과 특히 관련이 있다. 연구자들은 선택, 끈기, 성취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대해서 가설적인 결과를 얻어왔다. 자기효능감은 직업 선택뿐만 아니라 과제 선택과도 관련이 있다. Bets와 Hackett은 직업 선택에 있어 구조적이거나 사회적인 영향이 있더라고 하더라도, 자기효능감이 이러한 외부적 영향의 중요한 중재자이며, 직업 선택에 있어 직접적인 전달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자기효능감은 노력과 과제 지속력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 높은 자기효능감에 대한 믿음을 가진 개인들은,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그들이 요구되는 기술을 가지고 있을 때 과제에 더 끈기 있게 매달린다. Salomon은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들은 과제가 쉽다고 여겨졌을 때, 인지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점을 밝혔다.

노력의 질적인 측면 또한 자기효능감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 Pintrich와 De Groot은 자기효능감이 높은 고등학교 학생들은 다양한 인지적, 자기 통제적 학습 전략을 이용해서 보고할 확률이 높다고 밝혔다. 일련의 경험적 연구들을 통해서, Schunk는 자기효능감을 느끼는 학생들이 다양한 학문적 과제들을, 자기효능감이 약한 학생들보다 더 잘 수행해 내는 것을 밝혔다. 연구들에 따르면, 자기효능감은 학습과 성취의 중요한 예측지표이며, 이전 성취와 인지적 기술보다 더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지표이다.

종합해보면, 자기효능감은 모든 종류의 성취 행동의 중요한 매개자로 보인다. 특정 영역의 과제에 대한 자기 개념과 역량에 대한 자기 인식과 같이, 자기효능감은 자기 자신의 역량에 대한 개인의 판단을 보여준다.

 

출처 : 위키 백과

 


트랙백:  수신불가
추천 스크랩 전체목록